wsl2와 도커 환경 구성하기
wsl2 설치
wsl 활성화
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.
그리고 아래 2개의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한다.
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Microsoft-Windows-Subsystem-Linux /all /norestart
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VirtualMachinePlatform /all /norestart
그 다음, 재부팅을 해준다.
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
본인 PC의 CPU 아키텍처에 맞춰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한다.
- x64 :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링크
- ARM64 :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링크
설치가 완료되면 PowerShell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준다.
wsl --set-default-version 2
MS Store에서 Ubuntu 앱 설치
시작에서 Microsoft Store를 검색하여 실행한다. 그리고 Ubuntu를 검색하여 설치한 후 실행한다.(필자 기준 20.04버전)
만약에 실행 시 "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: 0xc03a001a" 라고 뜬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한다.
- 시작 > 실행 > %localappdata%\Packages 입력.
- CanonicalGroupLimited.Ubuntu_ 로 검색해서 나오는 폴더를 찾아서 오른쪽 클릭.
- 속성 > 일반 > 고급 > "내용을 압축하여 디스크 공간 절약" 의 체크 박스의 체크를 해제.
- Ubuntu App 재실행.
리눅스 윈도우10 에 설치 (WSL) 시 오류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: 0x80370102
cpu 가상화를 허용하지 않을 때 나타나는 에러이다.
intel과 amd 서로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. intel은 vmx, amd는 svm이라 부른다.
필자는 amd cpu이기 때문에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였다.
svm 활성화하는 법
ubuntu에서 패키지 다운로드 시 Err:1 http://archive.ubuntu.com/ubuntu focal InRelease... 로 시작하는 에러가 발생한다면
echo "nameserver 8.8.8.8" | sudo tee /etc/resolv.conf > /dev/null
sudo apt-get update
docker desktop 설치
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여 다운로드 받는다.
도커 다운로드
여기서 다운로드를 할 때 Docker Desktop requires the Workstation service to be enabled. 이런 에러가 뜬다면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.
- window검색 > windows 기능 켜기/끄기 > window 하이퍼바이저 플랫폼 체크
- window검색 > 서비스 > server더블클릭 > 시작유형을 자동으로 하고 서비스 시작
- window검색 > 서비스 > workstation더블클릭 > 시작유형을 자동으로 하고 서비스 시작
도커에 들어가게 되면 오른쪽 위에 톱니바퀴로 들어간다.
Resources > WSL integration > Enable integration with additional distros 에서 아까 설치한 ubuntu를 활성화해주고 Apply해준다. (없으면 Refresh해본다)
그 뒤, 재부팅을 해준다.
리눅스에서 도커설치는 다음 게시글을 참고한다.
게시글 이동하기